• 업무역량  비즈니스 스킬
    [How2업스킬] 전 직원을 위한 데이터 감수성 키우기
    훈련등급 : A 등급
     

    총 20차시 / 20시간 교육과정

    과정목록


    수료기준 및 수강정원

    수강정원 총진도율 중간평가 최종평가 과제
    0 명 60% 이상 총 0점 /
    0% 반영
    총 0점 /
    0% 반영
    총 0점 /
    0% 반영
    반영된 평가 합산 0점 이상


    교육비 안내

    교육비 환급 : 우선지원 기업 환급 : 대규모
    (1,000인 미만)
    환급 : 대규모
    (1,000인 이상)
    구독형


    • 과정소개
    • 강의목차
    • 학습후기

    과정소개

    빅데이터 시대, 흔히 데이터 보다 데이터를 읽는 능력이 중요하다!라는 말을 합니다. 방대하고 복잡한 데이터를 읽고 그 안에 숨은 이차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이터 독해력! 지금은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이 필수인 시대입니다.
    데이터 리터러시는 데이터 분석툴을 얼마나 능숙하게 다루느냐 보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이유로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할지 기획하고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직 대기업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현업 실무 경험으로 체득한 데이터 해석을 위한 현장 스킬을 가감없이 알려드립니다.

    과정목표

    전 임직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데이터로부터 시야를 넓히는 힘을 길러 데이터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데이터 문해력을 실현하는 힘을 길러 개인과 조직의 데이터 활용 능력을 높일 수 있다.

    학습대상

    비즈니스 전략 기획 및 수립, 마케팅, 영업 등 경영지원 관련 종사자
    데이터에서 인사이트를 얻어 업무 기획을 하고자 하는 학습자

    강의목차

    • 1 . 데이터로 말하는 시대, 나만의 생존전략이 있으신가요?
    • 2 . 데이터 분석보다는 활용이 중요해요.
    • 3 . 데이터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고 착각하지 마세요.
    • 4 . 올바른 데이터로 올바른 문제 풀어요.
    • 5 . 데이터를 활용하는 4가지 기초체력을 길러요.
    • 6 . 이야기를 잘 하는 사람이 데이터도 잘 써요.
    • 7 . 데이터에게 팩트체크를 부탁해봐요.
    • 8 . 데이터를 요약해서 말해요.
    • 9 . 데이터 분석, 오류의 늪에 빠지기 쉬워요.
    • 10 . 데이터 속성 과외, 딱 이만큼은 알아야 해요.
    • 11 . 연습삼아 사례 데이터를 분석해 볼까요?
    • 12 . 결과와 평가는 다릅니다.
    • 13 . 데이터에서 원인을 읽어내는 기술을 알려드립니다.
    • 14 . 보통 직장인은 데이터를 읽는 기술이 중요합니다.
    • 15 . 데이터를 잘 쓰면 숨겨진 것을 보이게 할 수 있어요.
    • 16 . 결국 쓸 데이터라면 쉽게 찾고, 효율적으로 써야겠죠?
    • 17 . 데이터는 변신을 거듭해야 파워풀해 져요.
    • 18 . 잘 나가는 개인과 조직은 무조건 데이터를 잘 씁니다.
    • 19 . 개인과 조직의 데이터 활용 능력을 높여볼까요?
    • 20 . 데이터 문해력, 조금만 노력하면 쑥쑥 자랍니다.

    학습후기

  • 0/0